기초 경제상식, GDP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3Q1Qd/btqK3DrVYoX/pMgE3JctfexKSu7slMljV0/img.png)
‘GDP 국내총생산’이라는 단어를 신문, TV 뉴스, 정부, 은행과 기업 보고서에 많이 인용됩니다. 그만큼 경제를 판단하는 지표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죠. GDP 단어를 들었을 때 항상 당황하셨나요? 이번 기회에 “아~ 이런 것을 의미하는구나.”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 한 번 알아봅시다.
GDP란 무엇인가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sg8d/btqKZnRqCwM/hX4g4M6hW6QDaJpvUnyKr0/img.jpg)
GDP(gross domestic product)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내에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입니다.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 예를 들어봅시다. 동화나라에서 1년 동안 뽀로로 인형을 100개 생산했으면 그 뽀로로 인형 100개가 그 나라의 최종생산물 GDP를 말합니다.
그런데 개수로 나타내면 모든 생산물을 분류하기도 힘들고, 생산품의 금액을 나타내지도 못합니다. 뽀로로 인형/100개/개당 10,000원, 크롱 인형/50개/개당 20,000... 쭉쭉 이렇게 나열할 순 없는 노릇이죠. 따라서 GDP는 금액으로 나타냅니다. 뽀로로 인형이 1개당 100원이면 10,000원이 동화나라의 GDP가 되는 것입니다.
GDP 왜 중요한가.
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어느 정도 사는지, 경제 성장률, 흐름을 알기 위해선 경제지표가 필요합니다. 이를 ‘경제활동지표’라고 합니다. 경제활동지표에는 국내총생산, 실업률, 물가상승률 등등 많지만, GDP가 단연 빠질 수 없는 지표입니다. 앞서 말했다시피 GDP는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 후 합산한 것을 말하는데요. GDP가 상승했다는 의미는 국가가 많은 제품을 만들었다는 것이고 경기가 좋아졌다는 것입니다. 반대로 GDP가 하락했다는 건 수요가 없으니 제품을 못 만들어서 경기가 나빠졌다는 의미겠죠?
결국, 한 나라가 일정 기간에 얼마나 물건을 많이 만들었는지가 잘사는 나라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. 한 나라의 경제를 아는데 물론 다른 지표들도 고려해야 하지만 가장 대표적이고 정확한 지표가 GDP입니다.
GDP 종류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5VZx/btqKXjvqKuR/DAWeFUJkFXRYHCwCES9Un1/img.png)
GDP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. 명복 GDP와 실질 GDP입니다. 물가 상승분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명목 GDP, 고려한 것은 실질 GDP입니다. 명목 GDP는 그 해의 생산량 * 그 해의 생산량 가격으로 계산합니다. 하지만, 하나의 문제점이 있습니다. 생산량은 동일하지만 물가 상승으로 가격이 인상되었을 때 GDP도 상승합니다. 경제 성장이 없었지만, GDP가 오르게 되는 것이죠. (명목 GDP는 국가간의 경제규모를 비교하기 좋은 지표입니다.)
이를 보완하고자 만들어진 것이 실질 GDP입니다. 실질 GDP는 그 해년도 생산량 * 기준년도 생산량 가격으로 계산합니다. 이렇게 GDP를 평가하면 물가의 영향을 제거하여 국가의 생산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. 따라서, 실질 GDP는 경제 성장률, 경기변동을 알기에 적합하죠. 그 외에도 1인당 GDP가 있습니다. GDP를 인구수로 나누어주면 1인당 생활 수준을 알 수 있어요.
'주식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가총액이란? (액면가/공모가/주가) (2) | 2020.12.22 |
---|---|
다우지수, S&P 500 지수, 나스닥 쉽게 이해하기 (2) | 2020.12.13 |
코스피 코스닥 뜻, 차이 쉽게 이해하기 (4) | 2020.10.21 |
금리란? 금리와 기준금리 종류, 영향 (8) | 2020.10.08 |
인플레이션이란, 인플레이션 원인과 영향 (2) | 2020.10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