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 주식용어, IPO
안녕하세요. 쥬리니입니다. 저번에는 시가총액을 알아봤죠?
오늘은 IPO (기업공개)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시가총액이란? (액면가/공모가/주가)
기초 주식용어, 시가총액 안녕하세요. 🤗 주리니라고 합니다. 여러분들 주식을 시작하면서 기업의 "시가총액"이라는 말을 여러번 들어보셨을겁니다.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규모를
house-youngdoo.tistory.com
#IPO란?
IPO는 Initial Public Offering 의 약자로 말그대로 '기업공개'라고 합니다. 비상장기업이 코스피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위해 기업의 재무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. 쉽게 말해서 대중들에게 기업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그렇다면 굳이 왜 기업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일까요? IPO 기업공개를 통해 외부투자자들에게 주식을 공개적으로 *매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물론, 기업 공개 전에도 장외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지만 거래소의 거래와 비교하면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이 쉽진 않습니다.
*매도: 주식을 파는 행위 [매수: 주식을 사는 행위]
#기업공개 과정
대표주관회사(증권사)선정 → 상장예비심사 → 공모주(공개모집주)발행 → 청약을 통해 다수의 소액주주 모집 → 상장
대략적으로 설명해드리자면, 대표주관회사에서 증권인수 과정을 거칩니다.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면 *공모주를 발행하는데 이 때 보통은 신주를 찍어 자금을 확보합니다. 공모주를 다수의 주주가 와서 *청약을 하게 되고 입금을 하면 기업이 상장이 됩니다.
*공모주: 공모주에 공모는 공개모집의 약자로, 50명 이상의 불특정 다수에게 주식 매입을 모집하는 것을 말합니다.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발행하는 주식을 '공모주' 라고 합니다.
*공모주 청약: 공모주를 사겠다고 신청하는 행위
#기업공개 장점과 단점
장점 | 단점 |
1. 주식회사의 자금 확보 가능 2. 주식의 거래가 가능해 지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들의 투자금 회수 3. 기업의 신인도가 높아짐 4. 기업의 소유권이 일반투자자에게 분산 |
기업공개 시 기업의 정보가 누출 |
'주식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한국·미국 증시전망 및 대응법, 인플레이션? 디플레이션? (2) | 2021.01.12 |
---|---|
시가총액이란? (액면가/공모가/주가) (2) | 2020.12.22 |
다우지수, S&P 500 지수, 나스닥 쉽게 이해하기 (2) | 2020.12.13 |
코스피 코스닥 뜻, 차이 쉽게 이해하기 (4) | 2020.10.21 |
GDP 란 (중요한 이유, 종류) (4) | 2020.10.16 |